[인문계열] 국어·국문학과 소개
국어국문학과에서는 음운론, 문법론, 어휘론 등의 '국어학'과 고전문학 및 현대문학을 공부하는'국문학'분야를 공부합니다. 국어국문학과에서는 언어와 문학작품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적 지식을 쌓고 우리말과 글이 어떠한 문법적 구조를 가지고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 사회 변화에 말과 글이 어떻게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도 공부를 합니다. 또한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 문학의 본질과 우리 국민들의 정서를 파악합니다. 학부과정에서는 '국어학'과 '국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교과목을 모두 배우고 대학원에 진학한 후 세부전공으로 나누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1. 적성 및 흥미
국어국문학과는 인문학과의 중추가 되는 학과로, 무엇보다 언어와 문학에 관심과 소질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언어와 문학은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므로 사회변화를 읽을 줄 알면 더욱 좋습니다. 또한 연극, 영화, 미술, 광고 등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면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창작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상상력과 창의력 그리고 글쓰기, 읽기에 대한 흥미가 필요합니다. 또한 한국어 문법과 음운 규칙 등 국어학에 대한 공부를 위해 호기심과 분석력도 필요합니다.
2. 관련학과
국어국문학과, 한문학과, 통상언어전공, 한국어문학과, 미디어 콘텐츠전공, 한국어교원학과, 한국어학과, 스토리텔링학과, 한국어통번역전공
3. 취득자격
- 국가자격: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 민간자격: 논술지도사, 독서지도사, 아동독서지도사, 시니어독서지도사, 독서코칭전문가, 독서논술지도사 등
4. 진출직업
1) 방송/기자: 신문기자, 잡지기자, 편집기자, 방송기자, 아나운서
2) 기획/사무: 출판물기획자, 출판물편집자, 웹툰기획자, 미디어콘텐츠창작자, 키워드에디터, 소셜미디어분석가, 상품공간스토리텔러, 사이버평판관리자, 점역사
3) 작가: 소설가, 시인, 작사가, 게임시나리오작가, 리포터, 방송작가, 영화시나리오작가, 라디오작가, 다큐작가, 만화스토리작가, 카피라이터, 평론가, 콘티라이터, 네이미스트, 번역가
4) 교육/연구: 국어교사, 문리학원강사, 한국어강사, 국어학원강사, 스피치강사, 논술지도사, 한문강사, 한국문화강사, 학습지교사, 교재 및 교구개발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2022 직업선택을 위한 학과 정보>
'진로코칭 > 직업 선택을 위한 <인문계열> 학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과 정보] 국제지역학과 (0) | 2023.12.20 |
---|
댓글